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Product Thinking/직무 리서치10

13년자 기획자 인터뷰, AI 시대에 일을 잘한다는 것. 기획자로써 유익하고 실용적인 조언을 들을수 있었다.내가 원하고자 하는 방향이 맞구나 하는 자신감?도 얻으면서 아직도 나아갈 길이 한참 남았구나 싶었다.머릿속에만 있는데 이걸 글로 좀더 잘 풀어내서 표현하는 능력을 더 발달시켜야될것 같다. 그리고 이 영상을 보고 바로 행동 하나를 실천했다.내가 궁금한걸 흘려보내지 말자는 이야기를 듣고 블로그에 단어사전을 하나 작성했다.생소한 단어인데 그냥 한번 찾아보고 그냥 넘기려고 했었다. 아무래도 다시 나의 감각을 키우는데 좀더 집중해야겠다! 이분이 쓰신 [기획의말들] 책도 읽어봐야지기획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생산하기가 되게 쉬워지고 효율적으로 바뀌고 있다. 앞단을 설게하는 능력, 기획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뭘 만들어낼지 그걸 어떤 방향으로 수정하고 조정하는게 .. 2025. 5. 13.
[롱블랙 인터뷰] 사소함, 인간성, 관찰, 스토리, 반전, 진심 5월 12일 아래 롱블랙 글을 읽고 발췌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https://www.longblack.co/note/1437 스토리 2025 : 사소함과 즉흥, 흐름과 반전까지…이야기꾼 8인의 생각법롱블랙 프렌즈 B AI가 일상이 된 요즘, 눈에 띄는 단어가 있습니다. ‘대체 불가능한irreplaceable’. 나의 경쟁력을 지키고 싶다는 소망을 담은 단어이기도 합니다.우리는www.longblack.co 콘텐츠 전문가들의 이야기김지연 퍼스트맨스튜디오 대표, 신우석 돌고래유괴단 대표, 나영석 에그이즈커밍 PD, 김정곤 비트윈스페이스 소장, 김재원 포인트오브뷰 대표, 키노시타 타카히로 유니클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송정훈 유타컵밥 대표, 임혜순 투썸플레이스 CMO. 1. 한줄 댓글과 질문에서 이야기가 자란다... 2025. 5. 13.
[롱블랙 인터뷰] 사람들이 내말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24년차 BBC기자 5월 11일 롱블랙 글을 읽고 발췌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https://www.longblack.co/note/1436 사람들이 내 말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 24년 차 BBC 기자의 설명 기술롱블랙 프렌즈 C 저는 뭔가를 설명할 때면 긴장하곤 해요. 특히 말하려는 내용이 복잡할 땐 더 그렇죠. 나도 모르게 말이 길어지면? 어느새 맞은 편에서 하품하는 친구의 얼굴이 보여www.longblack.co 복잡한 내용을 설명할때 도움이 되는책,[사람들이 내말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영국BBC 24년차 기자인 저자가 자신의 설명기술을 기록한 책. 1. 요약을 잘하는 방법: 복잡한 내용 담기좋은 요약은 간단한 문장이 아니라 꼭 필요한 복잡한 내용을 담는 것. 가치있는 정보전달이 핵심이다. 표면적인 이슈만 쉽게 전.. 2025. 5. 11.
[롱블랙 인터뷰] 45년차 예능 대부, 이경규 [롱블랙]을 구독하기 시작했다. 유튜브 프리미엄도, 쿠팡 와우도 쓰지 않는 나의 첫 구독료이다.유료 구독을 했으니 오늘부터 꾸준히 롱블랙 글을 읽고 정리 해둘까 싶다. https://www.longblack.co/note/1434#memoId=H17466805149829n1xdug2eri 이경규 : 45년 차 예능 대부, “죽는 순간까지 웃길 것”롱블랙 프렌즈 B 코미디언 이경규*는 45년째 왕성하게 활동하는 인물입니다. 그는 시대 흐름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웃음을 던졌고, 한 번의 구설 없이 지금의 자리를 지켰어요.*독자www.longblack.co 1. 배우를 꿈꿨던 소림사 주방장어떤 실패도 영원한 실패는 아니라고요.여러 실패의 문을 열고 닫아봐야만, 내가 기다린 문을 만났을때 과감하게 발을 내디딜.. 2025. 5. 8.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AI봇을 만들면서 배운 3가지 https://toss.im/simplicity/sessions/3-tips-no-one-tell-me-about-ai?referrer=share_lecture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SimplicityAI봇을 만들면서 배운 3가지 | UX Research Operations Manager · 최정은 | 사용자를 만나기 전에 가볍게 의견을 물어볼 수 있는 Al UT봇. 휴리봇을 만들면서 배운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toss.im 이번에는 UX research 팀에 있는 컨퍼런스 내용이다.어떤 AI 봇을 만들었을까 궁금하기도 했고, 실제로 사내에서 어떻게 적용하는건지 궁금했다. 이미 토스에서 사용자 인터뷰를 잘 할수 있다고 들은거 같은데,이렇게 봇으로까지 사용자의 의견을 들으려고 하는건가..? 대단하다.. 2025. 4. 29.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AI시대에 라이터로 살아남기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글을 보고? 읽고? 듣고? 작성한 내용입니다.https://toss.im/simplicity/sessions/the-end-of-ux-writers?referrer=share_lecture 토스 디자인 컨퍼런스, SimplicityAI시대에 라이터로 살아남기 | UX Writing Team Leader · 오천석 | AI는 UX라이터에게 위기이자 기회예요. 다크패턴을 계기로, 라이터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성장한 이야기를 들려드려요.toss.im 기존의 컨퍼런스와 다르게 연사자의 영상과 음성으로 제공되는 내용이다보니까실제로 눈앞에서 이야기하는 느낌이 들어서 신기했다.그리고 이렇게도 AI를 활용할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흥미롭게 들었다. 개인적으로 다크패턴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2025. 4. 29.
[롱블랙 인터뷰] 유병욱 카피라이터, 인생의 해상도 예전에 카피라이팅에 잠깐 관심이 있었을때, "유병욱 카피라이터"가 진행하시는 강의를 알게 되었다.실제로 수강하진 않았지만 지금 이렇게 이름을 기억하고 있는거보니 당시에 꽤나 깊은 고민을 했었나보다.광고회사 TBWA KOREA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하며 20년 경력을 쌓아온 카피라이터인데 최근에 를 출간했다.이와 관련해 [롱블랙]에서 인터뷰한 내용이 인상 깊어 몇 가지 발췌와 함께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책도 어서 읽어야지!) Intro. 어떻게 좋은 문장을 쓰나요? 본인만의 법칙이 있으신가요?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법칙으로 창의성을 키우는데는 한계가 있다.창의성이 1에서10까지 있다면, 법칙을 외워서는 6까지는 갈수있다.하지만 사람들이 놀라워하는건 7부터이다. 거기로 올라가는건 그 사람이 .. 2024. 11. 25.
[대표인터뷰] 카카오페이, '핀테크 플랫폼' 자신감의 근거 카카오페이 8월 상장예정예상 시가총액은 8조2천131억~12조5천152억원, 카카오페이의 기업가치는 '매출대비 기업가치 비교법'을 사용했다.카카오페이가 비교 대상으로 꼽은 곳은미국 간편결제 업체 페이팔홀딩스, 핀테크 솔루션 업체 스퀘어, 브라질 핀테크 플랫폼 업체 파그세구로 디지털 3곳이다.▲페이팔홀딩스 81.6배 ▲스퀘어 6.1배 ▲파그세구로 46.5배로 산출됐다카카오페이는 EV/Sales 값으로 이들 배수를 평균 계산한 44.7배를 제시했다 세 기업의 올해 1분기 매출액 규모는 ▲페이팔홀딩스 약 6조8천535억원, ▲스퀘어 약 5조7천448억원, ▲파그세구로 약 4천295억원 가량같은 기간 카카오페이의 매출액은 1천71억원예상 시가총액으로 비교해도 페이팔홀딩스의 387조3천226억원과는 32배~33.. 2021. 7. 6.
[대표인터뷰] 플로(FLO)드림어스컴퍼니 5년만에 흑자전환 | 개인화 맞춤 서비스 음악플랫폼 플로(FLO), 드림어스컴퍼니 2021년 올 1분기 매출 577억원, 영업이익 11억원, 당기순이익 22억원 기록지난해에 비해 14.1%증가, 2015년 4분기 이래 처음으로 흑자전환 성공즉, SK텔레콤에 인수된 후 시작한 콘텐츠사업으로 수익을 얻게 된 결과이다. 사실 드림어스컴퍼니는 국내1세대 MP3플레이어 제조사 레인컴, 누구나 들어봤을 '아이리버'였다2000년대 초반 국내외 휴대용 음원플레이어 시장에서 아이리버로 선전했지만, 스마트폰 시대로 부진을 겪었다.그러나 SK텔레콤이 여기를 인수해가면서 아티스트MD, 음원음반 유통사업 등에 진출했다.현재 주력서비스는 멜론,벅스,지니 같은 음악플랫폼 플로(FLO). >>>내가 직접 써본 플로2020.01.12 - [리뷰02] FLO(플로), 이미지캡.. 2021. 6. 3.
[대표인터뷰] 당근마켓 , 인스타보다 많이 쓴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당근마켓 5위19일 앱 분석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인 만 10세 이상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가장 많은 사람이 쓴 앱은 '카카오톡'그 뒤로 네이버,트위터, 유튜브 등 SNS가 이어서 순위권에 도달했다. 조금 주목해봐야할 것은 당근마켓이 5위에 올랐다는 사실이다. 당근마켓은 100억회로 인스타그램, 네이버밴드 등 국내 대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쳤다. 회사 측은 "당근마켓이 중고거래를 넘어진정한 하이퍼로컬 서비스를 열어 커뮤니티로 안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데이터다" 남녀노소 당근마켓 이용 당근마켓의 누적 가입자는 2018년 4월 100만 명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지난해 5월 1000만 명으로 10배 늘었다올해 4월 기준으로는 2000만 명이 당근마켓을 사용하고 있다. 2.. 2021. 5.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