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24 [Linux 명령어] top : 시스템 실시간 모니터링(CPU/메모리) Top 시스템 전반적인 값(CPU/메모리)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다만, 화면이 지속적으로 바뀜 (디폴트 업데이트시간 : 3초) ps는 현 시점에 대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top은 실시간 모니터링 실행 후 옵션 Shift + p CPU 사용률(%CPU) 큰 순서로 정렬 Shift + m 메모리 사용률(%MEM) 큰 순서로 정렬 Shift + t 실행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 K process 종료 이후 -9 죽일 프로세스ID(PID) 입력 해석 현재 서버시간 / user 수 / 부하율 task 정보 Top 현재 서버의 시간 User 2 users : 2명의 사용자가 접속 Load average 부하율 1분, 5분, 15분 간의 평균 실행/대기 중인 프로세스의 수 Task 전체 가동 중인 프로세스 개수 Run.. 2020. 4. 20. 쿠버네티스 구성요소(3/5) - Volume 구성 및 특징 Volume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 (컨테이너의 외장디스크) 1) 왜 필요? Pod가 기동할때 컨터네이너 마다 생성되는 로컬디스크는 영구적이지 않음(휘발) 즉, 컨테이너가 새로 배포되면 로컬디스크 내용이 사라짐 그래서 영구적으로 파일을 저장해야하는 경우 볼륨사용 * 스토리지 볼륨(Storage Volume) : 영구적으로 저장해야하는 파일 저장하는 디스크 2) 언제 사용? 컨테이너가 재시작해도 데이터가 사라지면 안될때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상태가 없는(Statelss) 앱 사용 즉, 어떤 이유로건 컨테이너가 죽었을떄 현재까지의 데이터가 사라진다 상태가 없기 때문에 장점 : 문제가 있거나 노드 장애가 발생하면, 컨테이너를 새로띄우거나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음 단점 : 컨테이너를 새로 띄울때 현재까지 데.. 2020. 4. 20. 쿠버네티스 구성요소(2/5) - Pod 구성 및 특징 Pod (파드)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 오브젝트 쿠버네티스에서 배포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즉, 컨테이너를 여러개로 묶어서 관리하는 배포하는 단위 (컨테이너 서비스들을 담는 그릇) 워커노드 안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들의 집합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를 pod라는 단위로 묶어서 한꺼번에 배포할 수 있음 그래서 컨테이너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게 아니라 pod라는 단위로 묶어서 컨테이너들을 관리함 1) pod 구성 한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가지고 있음 (일반적으로 1pod 1Container) 스토리지, 네트워크 속성을 가지고 서로 공유하고 있음 2) pod 특징 한 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묶어서 배포한다 예를 들어 nginx,wsgi, django 컨테이너가 하나의 pod안에 들어가서 한꺼번에 띄울 수 있.. 2020. 4. 20. 쿠버네티스 구성요소(1/5) (Object/Controller) K8S 구성요소 크게보면 Obejct : 가장기본적인 구성단위 object spec : obejct 설정값을 정의한 내용(yaml 파일형식) basic object : k8s에 의해 배포/관리 되는 가장 기본적인 오브젝트 Pod : 관련내용 보러가기 Service : 관련내용 보러가기 Namespace : 관련내용 보러가기 Volume : 관련내용 보러가기 Controller : Basic Object들을 생성/관리하는 추가 기능을 가진 것 1. 객체(Object) 가장 기본적인 구성단위 쿠버네티스가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 원하는 상태(desired state) ->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대상 즉, 기본 오브젝트를 가지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고 배포함 1) 오브젝트 스펙 (Object Spec).. 2020. 4. 19. 쿠버네티스 아키텍쳐(2/2) (마스터노드/워커노드) 쿠버네티스 아키텍쳐 하나의 마스터노드와 여러대의 워커로드로 하나의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는 구조 1. 마스터노드(Kubernetes Master) (aka.마스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전체를 컨트롤 하는 시스템 master는 API서버를 통해 K8S를 관리하고, 모든 컴포넌트들은 API 서버를 통해서 통신함 관리자만 접속할 수 있돌고 보안설정 필요 마스터 서버가 죽으면 클러스터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3대를 구성해서 안전성 높임 다양한 모듈이 확장성을 고려하여 기능별로 쪼개져 있는 특징 1.1 마스터노드 구성요소 API 서버 etcd Scheduler Controller Manager 1) API 서버 쿠버네티스의 모든 기능들은 REST API로 제공하고, 그에 대한 명령을 처리하는 부분 K8S 내부의 .. 2020. 4. 19. 쿠버네티스 아키텍쳐(1/2) (클러스터/마스터/노드) 쿠버네티스 하나하나 따져보기전에 전체 큰그림부터 보고 들어가기 1. 클러스터 단일 컴퓨터가 아니라 여러대의 컴퓨터를 하나로 묶은 단위 이때 클러스터 하나에 물리적인 서버 또는 가상머신을 '노드' 즉, 클러스터는 '노드'의 집합이라고 볼 수 있음 * Node 개념 컨테이너가 배포되는 개별적인 머신들(가상머신이나 물리적인 서버머신) 그 안에 여러가지 컨테이너들이 올라갈 수 있음 AWS안에서도 하나의 컴퓨팅 서비스가 돌아가가기 위한 개별적인 노드와 같은 의미 2. server-client의 API 구조 뜬금없지만, 쿠버네티스는 모든 명령과 통신을 API를 통해서 하기 때문에 기존의 Server-Client 방식을 보면 API방식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동작하기 위해 징검다리?역할을 해줌 어떤식으로 통신해야할지 .. 2020. 4. 19. [Linux 명령어] vmstat : 가상메모리 통계정보 확인(CPU/메모리/IO) vmstat (virtual memory stat) 현재 메모의 상태 출력 시스템 전반적인 값(CPU/메모리/IO)을 top보다 요약된 정보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음 옵션 -a (active) buffer와 cache대신 active/inactivate로 메모리사용량 결과 출력 -t (timestamp) 날짜 + 시간을 출력 -w (wide) 출력결과의 너비를 맞춤 -d (disk) 디스크 상태조회 [간격] [반복횟수] vmstat 2 5 : 2초간격으로 5번 출력 해석 procs 필드 r (run)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중 (cpu에 접근대기중인 프로세스) b (block) io자원을 할당받지 못해서 블록된 프로세스 수 memory필드 swpd 사용된 가상 메모리 용량 free 사용가능한 여유메모리 용.. 2020. 4. 19. 쿠버네티스 기본개념(컨테이너 운영환경/Container Orchestration /k8s특징) 1. 컨테이너 운영환경(Container Orchestration) 컨테이너들의 스케쥴링, 상태체크, 재기동하고, 로드밸런싱, 모니터링 등 컨테이너를 종합관리해주는 환경 작은 수의 컨테이너라면 vm이나 도커엔진이 하나씩 처리해서 직접 배포하면 되지만, 컨테이너가 많아지면..? 어떻게 컨테이너를 관리할 것인가..? 예를들어, 16CPU 32GB 메모리 VM들에 컨테이너를 배포하는데, 컨테이너들이 사이즈가 다 다를수도 있음 그래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컨테이너들을 '관리'하고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해주는 '환경'이 필요해짐 1-1. 컨테이너들의 '어떤관리'가 필요한가? 적절한 위치에 컨테이너들을 배포하고, 애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서 같은 물리서버에 배포될지, 다른 서버에 배포될지.. 2020. 4. 19. [클라우드흐름 2] VM(Virtual Machine) VS Container 도커의 개념에서 잠깐 나오는 VM VS Container(도커) 이야기 https://pearlluck.tistory.com/119?category=854935 [Docker1] 도커 기본개념(도커/컨테이너/VM/이미지/도커파일) 기존의 서버관리 예를 들어 웹서비스 환경을 제공한다라고 하면.. 1. 서버OS설치 (Linux/Ubuntu/CentOS) 2. 애플리케이션 설치(Web/Was/DB/App) 3. 각 애플리케이션의 Configuration 설정 4. 서비스데몬 실행 (도.. pearlluck.tistory.com vm 과 컨테이너의 차이점 1.하이퍼바이저의 유뮤 vm은 하이퍼바이저가 있음. 그래서 host OS의 하드웨어를 가상화해서 각 Guest OS한테 리소스를 할당해줌 컨테이너는 하이퍼바이.. 2020. 4. 19. [클라우드 흐름 1]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 개념정리 1. 가상화란? 물리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여러 시뮬레이션 환경이나 전용 리소스를 생성하게 해주는 기술 즉, '가상화' 한다는 말의 의미 하나의 물리머신상에서 복수의 시스템을 동시운영한다 또다른 cpu,메모리,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생성한다 물리서버 단위가 아닌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단위로 전환한다 그림에서 보이다시피 가상화 이전에는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들이 os단위에 올라가 있고, 그 os들은 CPU,메모리,디스크 같은 하드웨어(x86아키텍쳐) 위에 있는 환경으로 구성됨 그래서 간단하게 말하면 하나의 컴퓨터에서는 하나의 App만 운영할 수 있음 그런데 가상화 이후에는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Application들이 바로 os위에 올라가는게 아니라 가상머신.. 2020. 4. 19.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