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ume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 (컨테이너의 외장디스크)
1) 왜 필요?
Pod가 기동할때 컨터네이너 마다 생성되는 로컬디스크는 영구적이지 않음(휘발)
즉, 컨테이너가 새로 배포되면 로컬디스크 내용이 사라짐
그래서 영구적으로 파일을 저장해야하는 경우 볼륨사용
* 스토리지 볼륨(Storage Volume) : 영구적으로 저장해야하는 파일 저장하는 디스크
2) 언제 사용?
컨테이너가 재시작해도 데이터가 사라지면 안될때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상태가 없는(Statelss) 앱 사용
즉, 어떤 이유로건 컨테이너가 죽었을떄 현재까지의 데이터가 사라진다
상태가 없기 때문에
장점 : 문제가 있거나 노드 장애가 발생하면, 컨테이너를 새로띄우거나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음
단점 : 컨테이너를 새로 띄울때 현재까지 데이터가 사라진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재시작해도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볼륨이 필요함
3) 어떻게 사용?
pod가 기동할때 컨테이너에 '마운트'해서 사용
4) 특징
pod에 종속되는 디스크로 pod단위이기 떄문에 (pod당 가지고 있음)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음
4) 종류
로컬디스크
외장 디스크 인터페이스 : NFS, ISCSI, Fiber Channel
오픈소스 파일시스템 : github,GlusterFS, Ceph
Public Cloud에서 제공해주는 디스크 : AWS의 EBS, GCP의 Persistent
Private Cloud에서 제공해주는 디스크 : VsphereVolume
출처
https://arisu1000.tistory.com/27849
쿠버네티스 볼륨(kubernetes volume : PersistentVolume, PersistentVolumeClaim)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상태가 없는(stateless) 앱을 사용합니다. 상태가 없다는건 어떤 이유로건 컨테이너가 죽었을때 현재까지의 데이터가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상태가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에 문제가 있거나..
arisu1000.tistory.com
출처
https://twofootdog.tistory.com/5?category=845779
쿠버네티스 시작하기(2) - 쿠버네티스 구성요소(1/2)
이번 장에서는 쿠버네티스의 개념에 대해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구성요소와 컨셉만 잘 이해하면 쿠버네티스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1. 마스터와 노드 쿠버네티스를 이해하기 위..
twofootdog.tistory.com
https://bcho.tistory.com/1256?category=731548
쿠버네티스 #2 - 개념 이해 (1/2)
쿠버네티스 #2 개념 이해 (1/2) 조대협 (http://bcho.tistory.com)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면서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용어와 컨셉이다. 이 컨셉만 잘 이해하면 쿠버네티스를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지만, 적어도..
bcho.tistory.com
'🌴 DevOps > Docker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3] docker 기본명령어(run/ps/logs/exec) (1) | 2020.05.03 |
---|---|
[Docker2] Docker 설치 및 이미지(ubuntu/nginx/mysql) 실행하기 (0) | 2020.04.30 |
쿠버네티스 구성요소(4/5) - Service 구성 및 종류/kube-proxy (0) | 2020.04.20 |
쿠버네티스 구성요소(2/5) - Pod 구성 및 특징 (0) | 2020.04.20 |
쿠버네티스 구성요소(1/5) (Object/Controller) (0) | 2020.04.19 |
쿠버네티스 아키텍쳐(2/2) (마스터노드/워커노드)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