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evOps

[클라우드 흐름 1] 가상화와 하이퍼바이저 개념정리

by 카프리썬_ 2020. 4. 19.
728x90
728x90

1. 가상화란?

물리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여러 시뮬레이션 환경이나 전용 리소스를 생성하게 해주는 기술

 

즉, '가상화' 한다는 말의 의미

  • 하나의 물리머신상에서 복수의 시스템을 동시운영한다
  • 또다른 cpu,메모리,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생성한다
  • 물리서버 단위가 아닌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단위로 전환한다

출처 : Virtual Space

그림에서 보이다시피 가상화 이전에는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Application들이 os단위에 올라가 있고,
os들은 CPU,메모리,디스크 같은 하드웨어(x86아키텍쳐) 위에 있는 환경으로 구성됨
그래서 간단하게 말하면 하나의 컴퓨터에서는 하나의 App 운영할 있음

 

그런데 가상화 이후에는
어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Application들이 바로 os위에 올라가는게 아니라 가상머신 위에 올라간다. 가상머신에는 이제 여러가지 컴퓨터들을 띄울 있는 환경이
그래서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가지 환경을 가진 App 운영할 있음

 

그럼 어떻게 다른 OS들을 사용할 수 있을까?

각 OS마다 '커널'이 존재한다

이 커널은 리소스를 관리하고, 명령어 해석하는 역할

그런데 OS마다 명령어를 해석하는 규칙도 다르다

출처 https://blog.naver.com/alice_k106/220218878967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덧셈연산을 하고 싶다.

하지만 나라마다 언어가 다르듯이 윈도우OS는 'Add' 라고, 레드헷OS은 'ADD'라고, 맥OS는 'add'라고 말한다.

다 같은 의미이긴하지만 게스트OS마다 말하는 다르기 때문에 처리할 명령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럼 어떻게 이런 명령어들을 이해해서 각각 OS를 구동하게 할까? 하이퍼바이저

하이퍼바이저가 각 OS마다 말하는 명령을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게 하나의 명령어로 번역해준다.

 

출처 https://blog.naver.com/alice_k106/220218878967 

 

//이렇게 구동되는 하이퍼바이저 가상화방식 : 전가상화

2. 하이버파이저

이런 가상화를 구현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기술

호스트에서 여러가상의 GuestOS를 실행하기 위한 플랫폼(?) 이라고   있다.

VM과 하드웨어간의 IO명령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각종 Application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가상환경 (VM: Virtual Machine)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줌

 

그래서 위에서처럼 각 VM 위에 올라간 OS들의 명령을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게 하나의 명령어로 번역해주고,

반대로 각 OS들에게 하드웨어의 리소스들을 나눠주면서 조율해준다

 

+하이퍼바이저 유형

 

TYPE1 

native 혹은 bare-metal(베어메탈)이라 불리는 가상화 방식 (어떤 소프트웨어도 담겨져 있지 않은 하드웨어, 빈깡통)

HOST OS가 없음 (ex : Vmware)

하이퍼바이저가 os에 종속되지 않고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되는 구조 -> 위에서 말한 내용 

하이퍼바이저가 다수의 VM을 관리하는 형태

VM에 설치된 게스트OS들은 하드웨어 바로 위에 구동됨

TYPE2보다는 성능향상되지만, 여러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세팅해야됨

 

전가상화 VS 반가상화

(1) 전가상화 

출처 : http://pyrasis.com/book/TheArtOfAmazonWebServices/Chapter01/01


하드웨어 전체를 가상화하는 방식

OS의 제약없이 사용할 수 있음

Guest는 자신이 가상화 위에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없음 

Guest OS에서 물리자원을 직접 접근불가

 

즉, 하이퍼바이저의 역할(전가상화)

  • 각기 다른 OS들의 명령방식을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 전달해줌
  • 하드웨어의 리소스들(명령을 해석한 결과)을 OS들에게 제공

(2) 반가상화

출처 : http://pyrasis.com/book/TheArtOfAmazonWebServices/Chapter01/01

 

게스트OS가 자신이 가상머신 위에 동작하고 있다는걸 인식할 수 있음

OS의 제약이 있다

Guest OS에서 물리자원을 직접 접근가능

 

위에서 말한 전가상화에서 하이퍼바이저의 '번역'의 역할을 가상머신에서 처리함

그래서 하이퍼바이저는 각 OS에게 리소스를 전달해주기만 하면 된다.

 

즉, 하이퍼바이저의 역할(반가상화)

  • 각기 다른 게스트 OS들의 명령방식을 하드웨어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 전달해줌 --> 가상머신 역할
  • 하드웨어의 리소스들(명령을 해석한 결과)을 VM위에 올라간 각 게스트OS들에게 제공

Guest os의 명령어를 하나의 하이퍼바이저가 해석하는게 아니라

명령어을 던지는 사람이 직접 번역(Hyper-Call)을 해서 하이퍼바이저에게 요청을 보냄

이때 더해라! 라고 하는 부분이 Hyper-Call

 

그런데 각 os의 커널 이걸 직접 못해서 OS커널을 직접 수정해야함(확성기를 만들어줘야함)

그래서 리눅스같은 오픈소스os를 사용해서 반가상화 방식 이용

https://itholic.github.io/hypervisor/

TYPE2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가상화방식(호스트형가상화)

HOST OS위에 하이퍼바이저가 실행되고, 그 위에 Guest OS를 올리는 방식 (ex: Xen방식)

기존 컴퓨터환경에서 하이버파이저를 활용해서 설치용이, 구성편리, TYPE1보다 성능이 낮음

 

예를 들어, 윈도우에서 리눅스환경을 쓰고 싶을때 Virtual box설치하는거에 비유하면

윈도우가 설치된 환겨에서(host OS)

virtual box 설치하고(하이퍼바이저),

실행시킴(가상머신)

그 안에서 리눅스OS사용(게스트OS)

 

출처

https://augustines.tistory.com/142

 

클라우드 이해

SPI 모델이란 SPI 모델이라는 것은 가장 일반적인 클라우드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3가지(SaaS, PaaS, Iaas)로 구분된다. 1) SaaS(Software as a Service) : 인프라, 플랫폼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서비스하..

augustines.tistory.com

https://itholic.github.io/hypervisor/

 

[virtualization] 하이퍼바이저, 전가상화, 반가상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itholic.github.io

 

https://blog.naver.com/alice_k106/220218878967

 

3. [Cloud Computing] 전가상화와 반가상화

이전 포스팅에서 가상화가 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중요한지를 알아보았고, 가상화의 종류에는 전가상화와 ...

blog.naver.c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akey7&logNo=221599135601&parentCategoryNo=&categoryNo=22&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클라우드 가상화 기술 정리 1 (서버 / 운영체제 OS / 전가상화 / 반가상화 / 하이퍼바이저 / VM웨어 / 시트릭스 / 마이크로소프트 / 레드햇 / 리눅스 / 인텔)

​​1. 클라우드와 가상화 기술 배경​- 클라우드 컴퓨팅은 하드웨어와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된...

blog.naver.c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hakey7&logNo=221472286783&from=search&redirect=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가상화(Virtualization) 정리1 (서버 / 리소스 / 가상 머신 VM / 하이퍼바이저 / 미들웨어 / 호스트 / 게스트 / 운영체제 OS / CPU / Intel)

​​1. 가상화(Virtualization)​(1) 개념​- 가상화는 단일한 물리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여러 시뮬레이션...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