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Language/Java17 [Spring] Spring vs Spring boot Spring이란? 정확하겐 스프링 프레임워크이다. 대표적인 java 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Spring Framework)는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로서 쓰이고 있다. 즉, 개발자가 코드 안에 애플리케이션 동작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면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이를 해석해서 동작하는 것이다. 개발자들에게 겨울은 끝나고 봄(spring)이 온다! 개발자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조금 더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탄생했다. - Dependecy ingection(D.. 2021. 4. 8. [Spring]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란? | Bean이란? Annotation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 자바에선 특별한 의미를 담은 주석. 즉, 자바코드에 주석처럼 달아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 자바나 스프링이 제공해주는 것도 있고,사용자가 직접 만들수도 있다. 어노테이션은 왜 사용하는가? - 컴파일러에게 코드작성 문버벵러를 체크하도록 정보제공 - 빌드나 배치시 코드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 코드실행시 특정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 대표적인 어노테이션 1. @Component vs @Bean @Component :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Class를 Bean으로 등록할떄 사용 컴포넌트에 대한 추가정보가 없으면 class이름을 camelCase로 변경한것이 Bean ID로 사용 @Component에 val.. 2021. 4. 7. [Spring] 스프링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조(maven vs gradle) 스프링 프로젝트를 구성할때 가끔 고민되는 부분이 있다. 메이븐(maven)과 그래들(gradle)이다. 안드로이드 개발할때 언뜻 gradle을 보긴했지만 늘 모르는 채로 넘어가서 이참에 찾아보았다. 공통점 일다 둘다 빌드관리 툴이다. 빌드란 단순한 소스코드파일을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산출물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소스코드파일에는 자바코드뿐만 아니라 그 안에 사용하는 다른 라이브러리도 있을 것이다. 이떄 그 라이브러리들도 컴파일하고, 패키징하는 과정을 빌드라한다. 컴파일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번역하는 작업이다. 자바의 경우 자바가상머신(JVM)에서 실행가능한 바이트코드 형태인 클래스파일을 만든다. 빌드툴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라이브러리버전을 동기화하기 위해서 등장했다. Maven이란? 초기에.. 2021. 4. 7. [Java] Spring Initializr로 스프링프로젝트 hello world 시작하기 Spring initializr란? spring에서 제공하는 spring initializr 웹도구를 사용해서 스트링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이다. 어떻게 사용하지?! 1.웹접속 https://start.spring.io/ 2021. 4. 5. [JAVA]Intellij IDE 설치 | JAVA 설치 | JDK 다운로드 이클립스는 너ㅓㅓ무 질렸다. 내가 그동안 자바에 끌리지 않는 이유도 다 안예쁜 이클립스 탓.... 그래서 새로운 툴을 써보고 싶어서(?) 다시 자바에 눈을 돌렸다.. 헐키 학생인증하면 ulitmate 라이센스 발급해준다 커뮤니티버전에서는 프레임워크(spring,django)도 못쓰고, javascript도 못하고, SQL도 못하는데 유료용 사용해야할듯4 라이센스 발급 www.jetbrains.com/community/education/#students IntelliJ란? 이클립스같이 자바를 위한 IDE 툴 1.설치하기(community버전) https://www.jetbrains.com/idea/ 2.JDK연동 JAVA JDK 다운로드 :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 2021. 3. 26. [Spring] MVC패턴 + Spring에서 MVC 패턴 디자인패턴 디자인 패턴 프로그래밍 형식을 정하는 일종의 약속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설계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 싱글톤 패턴이란?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 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static) 그 메모리의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패턴. (인스턴스가 필요한 경우 똑같은 인스턴스를 여러 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동일(기존) 인스턴스를 사용하게 하는 한다) *장점 ⓐ 고정된 메모리 사용으로 new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를 막음 ⓑ static(전역)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쉬움 * 단점 너무 많은 사용은 다른 클래스들 간의 결합도가 높아져 수정, 테스트가 어려워질 수 있다. MVC패턴이란? Mod.. 2020. 1. 16. [Java] 문자열클래스 string/ stringbuffer / stringbuilder 정리 srting,stringbuffer,stringbuilder의 공통점은 모두 string문자열을 관리하는 클래스 string클래스는 new연산을 통해 한번 생성하되면 메모리공간은 변하지 않은 불변객체입니다. 그래서 연산이 필요하면 메모리공간을 늘리는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므로 성능이 떨어집니다. 대신 단순하게 읽는 조회연산에선 속도가 빠릅니다. sringbuffer, stingbuilder 클래스는 string과 다르게 연산에 따라 메모리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기화가 가능한지에 따라 stringbuffer와 stingbuilder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stringbuffer는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동기화가 가능하지만 stringbuilder는 불가능합니다... 2020. 1. 13.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