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행작업
1) EBS 생성 (디바이스명: dev/xvdb )
2) 특정 EC2에 attach 작업수행
3) attach한 EC2 Reboot
이후 작업
1. 디스크에 볼륨이 연결되었는지 확인
2.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 파티션 생성(옵션)
3. 볼륨을 쓸 수 있는 파일시스템 존재하는지 확인 -> 없으면 파일시스템 생성
4. 디스크에 연결된 볼륨을 사용하기 위해서 mount
1) attach한 디스크확인 (lsblk) : 디스크 추가 정상확인
2) 파티션 생성(fdisk) 및 확인
N : 새로운 파티션 추가명령어
p: 주파티션 생성 명령어
파티션번호 : 1
파티션 생성 명령어 옵션 확인하기 : https://sayo-le.tistory.com/18
3) 파일시스템 생성 및 확인
전체 루트디바이스 자체가 가지고 있는 파일시스템
파티션이 가지고 있는 파일시스템 : 없음!
4) 파일시스템 생성 (mkfs -t [타입] [장치명] ) : 리눅스 파일시스템(ext4 타입) 생성
5) mount
마운트 포인트 디렉토리 생성 : mkdir /xvdb
Attach한 디스크에서 생성한 파티션 : dev/xvdb1
마운트 : mount /dev/xvdb1 /xvdb
마운트 포인트에 테스트데이터(.txt) 생성
6) 파일시스템 확인(df -h)
단, MOUNT한 볼륨은 시스템이 재부팅될떄마다 다시 마운트를 해야함! (ec2 stopped 해도 날라감)
그래서 재부팅시에도 볼륨을 유지하고 싶으면 auto mount설정
참고
EBS 용량늘리기
Amazon (EC2) EBS 용량 늘리기
EC2를 사용하다가 용량이 부족할 때(EC2는 기본적으로 EBS를 사용합니다.), EBS 용량을 확장하고 싶을 때 이 포스트를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Amazon Elastic Block Store(EBS)는 대규모로 처리량과 트랜잭션
lv99.tistory.com
'🌴 DevOp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비용] AWS FreeTier 과금은? | 과금대상 특이사항 (0) | 2021.05.12 |
---|---|
[AWS비용] AWS FreeTier 어디까지 무료인가?| 프리티어 사용량 (2) | 2021.03.21 |
[AWS 계정이동] AWS인프라를 다른계정으로 옮길때 | 이미지 권한수정 (0) | 2021.03.21 |
[EBS] EBS 볼륨이란? 볼륨생성/연결하고, 루트 디바이스 정보확인 (0) | 2020.06.08 |
[ACM] 공인인증서 ALB/CLB 적용 차이 (0) | 2020.05.28 |
[ACM] 사설인증서 발급(OpenSSL) 및 CloudFront 적용 (0) | 202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