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I UX/Study

[UX스터디] 서비스 비교분석 가이드. 어떻게 어떤걸 고민해봐야하는가

카프리썬_ 2024. 12. 5. 20:52
728x90
728x90

 

 

심심할때면 앱스토어에 가서 여러가지 앱을 깔아보고 써본다. 

그러다가 같은 기능을 하는 앱들을 사용해보기도 하는데, 단순히 이건 이렇구나 하고 넘어가기 아쉬운 생각이 든다.

UX 관점에서 유사한 서비스들을 어떻게 비교해봐야할지, 어떤 고민을 해보면 좋을지 알아보았다. 

 

앞으로 꾸준히 내가 사용하는 앱들의 케이스 스터디 좀 해봐야겠다.

벌써부터 하고싶은 앱 서비스들이 한두개가 아니다. 후후.

 

아래의 아티클을 읽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https://www.wanted.co.kr/events/article_241011?sort=deadline&label=article&payable=all&keywords=

 

UX 디자이너 서비스 분석 방법 : 분석 서비스 선정과 이용 단계 | 원티드

서비스를 UX/UI 관점으로 분석하고 개선해보는 과정은 주니어 디자이너가 성장하는 데 좋은 발판이 되어줍니다.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나 기능, 인터페이스를 살펴 보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어떤

www.wanted.co.kr

 

 


1. 서비스 선정 

일상적으로 쓰는 앱 추천.

실제 유저의 입장에서 분석해보기 용이하다. 

 

2. 서비스 이용

최소3일에서 1주일 사용하기. 

직접 써야봐야 어떤 상황(User's Context, Needs)에서

어떤기능(Feature, Solution)을 필요로 하는지,

그 기능이 사용자 친화적으로 디자인(Interface)된것이 맞는지 실질적으로 평가하고 고민해볼수 있다. 

서비스 이용하면서 고민 할 포인트! 

 

1.만나기 : 전반적인 앱의 인상은?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는 타입인지, 재밌는 그래픽 요소나 인터랙션이 많은 타입의 앱인지 전체적인 이미지 

2.둘러보기 : 서비스는 어떤기능을 어디에서 제공하는지? 

각 기능별 진입경로, UI 컴포넌트 위치 분석

3.이용하기: 주로 사용하거나 찾게 되는 기능은?

4.생각하기 : 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고, 어떤 니즈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가?

5.평가하기 : 그 기능을 이용할때 편리했는지 불편했는지? 나의 문제점이 잘 해결되고 부족한점은 없었는지?

 

3. 유사 서비스 이용 : 서비스간 UX/UI 차이 분석

관련 유사 서비스도 병행해서 사용해보기. 

같은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서비스마다 인터페이스, 진입경로, 시각요소에 차이가 있다. 

단독으로 이용했을때는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는데, 다른 서비스를 경험해보면서 차이로 인해 더 나은 경험이 어떤건지 깨달을수 있다.

반대로 편리하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앱에서는 직관적이지 못하고 불편하게 느껴질수도 있다.

 

유사한 서비스를 이용해보면서 비교해볼 포인트! 

 

1.같은 기능을 어떻게 다른 UX로 제공하는가?

2.유사 서비스로 제공하거나,제공하지 않는 기능이 있는가? 기능의 유무에 따른 차이점

3.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각 앱을 이용할떄, 어떤 앱이 더 빠르고 쉽게 목표를 달성할수 있는가?

 

4. 분석: 플로우별 서비스 뜯어보기 

4-1. 스크린 묶기.

플로우별로 서비스 스크린을 나열해보고 묶어서 분석하기. 

예를 들어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5가지 (목적지선택, 택시종류선택, 결제수단선택, 기사님매칭, 배차성공후 대기)로 나눠서 분석가능. 

4-2.집요하게 뜯어보기 

왜 이렇게 디자인 했을지 의도 생각해보기.

사용중에 불편함을 느꼈다면 또는 편리함을 느꼈다면 왜 그런 감정을 느꼈을지 질문하면서 대답해보기. 

왜 그렇게 느꼈고, 왜 이렇게 디자인했을까? 이게 정말 최적의 디자인인가? 

 

서비스 뜯어볼 포인트 

 

1. 진입경로 

사용자가 특정 기능에 접근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페이지나 컴포넌트를 거쳐야하는지, 어떤 버튼을 통해 진입하는지 분석.

보통 진입경로가 짧고 직관적일수록 사용자는 더 쉽게 목적을 달성할수 있고 만족도도 높다. UI와 정보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할수 있다.

 

2. 컴포넌트 UI 디자인 

사용성과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컴포넌트의 크기, 색상,간격, 인터랙션 방식 등 세부적인 디자인요소들 분석. 

직관적이고 일관성 있는 경험을 제공해 사용자가 쉽게 목적을 달성할수 있게한다. 혼란을 주거나 기능이 사용하기 어려운지 평가할수 있다.

전반적인 디자인을 살펴보면서 단순히 미적요소를 보는것을 넘어서

각 컴포넌트가 사용자의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사용성을 떨어뜨리지는 않는지 분석. 

 

3. 컴포넌트 위치 

주요한 CTA나 액션버튼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그에 따른 시선처리가 자연스러운지, 사용자 맥락상 시선이동이 적은지 분석. 

맥락상 이어지는 정보를 강조하거나 비슷한 위치에 배치하는게 사용자 친화적이다.  

- 시선처리 : 사용자가 정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시각적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 터치영역 : CTA버튼이 엄지영역에 있어서 선택하기 용이한가?

 

4. UX라이팅 

단순한 텍스트 전달을 넘어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해하고 원활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요소.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인터페이스 내에서 의사소통 역할을 해서 기능을 명확히 해준다. 

 

5. GUI/ 모션 인터랙션 정도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전환 효과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의 변화를 쉽게 이해하고, 피드백을 제공해 상호작용이 성공적이라는 '신호'역할.

다만 과도한 시각정보는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피로감을 야기할수 있다. 이 밸런스를 잘 맞추고 있는지 분석 

- 제공해주는 효과가 사용자에게 정말 필요한 정보가 맞는가? 사용자의 이용흐름을 해치진 않는가? 

-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피로감을 불러일으키진 않는가?

- 기능을 사용하고 이해하는데 '보조적인' 역할을 잘 수행하는가?

 

5. 상상 : 어떤 타겟이 어떤 상황에서 쓰는가

이 기능은 어떤 특징과 상황에 놓인 사용자가 쓸지 상상해보기.

기능이 사용되는 맥락을 구체적으로 설정해보기. UX디자인이 왜 불편하거나 만족스럽게 느껴지는지 이유를 명확하게 파악할수 있다. 

 

6.개선 

불편함을 느낀 UX를 직접 고치는게 완전히 체화하는 과정이다. 

문제점에 대한 솔루션을 스스로 제안하고 리디자인해보는 과정은 문제해결역량을 강화시킨다. 

마땅한 해결책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레퍼런스를 찾아보기. 직접 해결해보는 과정까지 UX관점으로 서비스를 스터디하는것이다. 

 


 

특정 디자인이 사용자 친화적이다, 그렇지 않다를 판단하는데 정답이 없다.

왜 좋다 느꼈고, 왜 불편하다 느꼈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 이유를 찾아가는게 UX적으로 서비스를 분석하는 핵심이다. 

 

다음글에서 참고한 아티클에서 예시를 들어준 카카오택시와 우버를 비교해볼 것이다. 

일단 샘플로 직접 비교하기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 가이드라인을 배운다고 보면 될 것 같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