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pring boot과 React 연동 개발환경 세팅(다시)
1. srping boot 기본설정하기
spring initalizar로 프로젝트 생성해두기 (dependency는 web만 추가)
2. REST API 테스트해보기
3.React 설치
설치완료 : 보면 frontend 폴더가 하나 생겼다
4.React 실행
/frontend 경로에가서 npm start 명령어를 입력하면 바로 실행이 되며 리액트 초기화면이 나오면 성공!
5.CORS문제해결하기
스프링부트의 백엔드는 8080에서 실행되고, React의 프론트엔드는 3000에서 실행하고 있다.
이때 CORS(cross-orgin requests)가 발생해서 프론트단에서 proxy를 잡아줘야한다
즉, 8080으로 보내도록 말이다.
리액트의 package.json파일에 "proxy" : "http://localhost:8080"추가한다
6.리액트 js작성
참고한 블로그를 바탕으로 튜토리얼처럼 작성한 것이다.
7. 스프링실행, 리액트 실행
둘다 run시켜준다
띠용가리, 이상하게 리액트 index.html파일을 반환하게 된다.
나원참 어이가 없네 이 10분짜리 간단한 환경세팅이 왜이렇게 안되는거?
출처
Spring Boot와 React를 연동하여 개발환경을 만들어보자
이글을 읽어보기전에!! 한번 고려해볼 점을 제가 적어뒀습니다 한번 참고 해보고 프로젝트를 진행해주세요! [Java/Spring] - Spring Boot와 React를 통한 개발환경을 구성할때 고민해볼점 Spring Boot와 React
sundries-in-myidea.tistory.com
soojong.tistory.com/entry/Spring-Boot-React-%ED%99%98%EA%B2%BD%EC%85%8B%ED%8C%85
Spring Boot + React 환경셋팅
화면은 React로 구현하고, 온라인은 Spring Boot로 셋팅하려고한다. 아래 링크들은 환경셋팅하면서 도움받았던 글이다. 누구든지 하는 리액트 2편: 리액트 프로젝트 시작하기 | VELOPERT.LOG 이 튜토리
soojong.tistory.com